Theory/Data Analysis7 [통계 분석] 03 연속형(양적) 데이터 요약 중심경향치 자료의 중심을 나타내는 숫자 자료 데이터 분포의 중심을 보여주는 값으로서 자료 전체를 대표 대표적인 중심 경향치로는 평균값, 중앙값, 최빈값 등이 있음. 중심 경향치 설명 평균값 (Average) 자료의 합을 자료 개수로 나눈 값 평균은 극단적 값의 영향을 잘 받게 됨 중앙값 (Median) 자료를 크기 순으로 정렬했을 때 정 가운데 있는 값 자료의 상위 50%와 하위 50%를 가르는 지점 최빈값 (Mode) 가장 빈번하게 관찰, 측정되는 값 산포도 데이터가 대푯값을 중심으로 얼마나 흩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 산포도 종류 설명 범위 (Range) 자료 중 가장 큰 값과 가장 작은 값의 차이를 나타낸 값 백분위수 (Percentile) 크기가 있는 값들로 이뤄진 자료를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백.. 2023. 9. 29. [통계 분석] 02 데이터 확보 / 데이터 요약의 이해 Primary Data (1차 자료) 당면한 구체적인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분석자가 새로 수집하는 자료 수집 방법 : 서베이, 직접적인 실험 관찰 데이터 대표적인 수집 도구 : 구글 서베이 Secondary Data (2차 자료) 과거에 다른 목적이나 용도로 수집되었던 조직화된 정보에서 분석 목적에 적합한 데이터를 활용하는 자료 수집 방법 :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 크롤링 대표적인 수집 도구 : DB 추출 - SQL 등, 크롤링 - 크롤러 (파이썬 등으로 개발), 엑셀 파워 쿼리 등 크롤링 (Crawling) 소프트웨어를 통한 자동 데이터 수집 데이터 요약 - 기술 통계 데이터는 그저 단순한 숫자들이 나열로 보임. 데이터 그 자체로부터 무엇인가 그 분포의 특징이나 반복되는 것을 이끌어내기 위한 방법 필요.. 2023. 9. 29. [통계 분석] 01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과 데이터의 유형 경영 = 의사결정 직관 + 데이터 = Better Decisions 직관적 의사결정 고객의 욕구, 경쟁자 전략, 기술 변화 등 관련 정보의 획득과 최적 대안 도출이 실제 경영 상황에서는 완벽하게 얻기 힘듬. 의사결정시에는 완벽한 합리성 X, 제한된 합리성 O 전통 비즈니스 시장 특성 수십년의 업력 직관 기반 의사결정을 진행할 수 있는 충분한 경험이 확보된 시장 디지털 시장 특성 새로운 시장 의사결정 진행을 위한 충분한 업력 부족 직관 기반 의사결정이 아닌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필요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직관적 의사결정과 대칭점 무작위 표본을 기반으로 모집단을 모형으로 나타낸 뒤, 모형을 활용해서 통계적 추측 진행 확률 불확실성의 정도를 측정한 값 사건 발생 개연성을 측정하는 수단 합리적 의사결정을 내리기.. 2023. 9. 28.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