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95 02 IoT 아키텍처 구성 (1/3) IoT 아키텍처 IoT 서비스는 크게 두 가지 역할 담당 : 디바이스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 해당 데이터를 분석하는 역할 / 디바이스에 명령 및 정보를 전송하는 역할 1. 전체 구성 구성 요소 : 디바이스, 게이트웨이, 서버 2. 게이트웨이 인터넷에 직접 접속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장치 또는 소프트웨어 인터넷에 직접 접속할 수 없는 디바이스와 인터넷 간의 중계 역할 담당 복수의 디바이스 접속 가능 주로 리눅스를 운영 체제로 사용 게이트웨이를 선택할 때 인터페이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전원을 고려 인터페이스 게이트웨이와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것 인터페이스에 따라 접속할 수 있는 디바이스가 결정 유선 접속 타입 : 시리얼 통신, USB 접속 시리얼 통신 - D-.. 2023. 7. 28. 01 IoT 기초 M2M(Machine to Machine) 사람이 개입하지 않는 기계와 기계 간의 통신 IoT를 구성하는 기술 요소 1. 디바이스 센서라고 불리는 전자 제품이 내장된, 네트워크에 연결된 사물 센싱(sensing)과 피드백(feedback)이라는 두 가지 역할 담당 센싱 : 디바이스 자신의 상태나 주변 환경의 상태를 수집해서 시스템에 알려 주는 동작 상태 : 예) 방문의 개폐 상태, 방의 습도나 온도, 방에 사람이 있는지 등 피드백 : 시스템으로부터 알림을 받아서 정보를 표시하거나 지시된 동작을 수행하는 것 시스템은 센서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일련의 피드백을 수행하고, 실세계로 액션을 실행 가시화(visualization), 알림, 제어의 세 가지 피드백 방법 존재 가시화 : 센싱 결과 화면 또는 .. 2023. 7. 27. 05 ETRI 연구연수생 3주차 후기 (23.07.17~23)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3. 7. 23. 04 ETRI 연구연수생 2주차 후기 (23.07.10~16)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3. 7. 16. 이전 1 ··· 3 4 5 6 7 8 9 ··· 49 다음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