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ory53 05 IoT 관련 통신 프로토콜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최근 M2M 통신, 자동화, IoT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사례 증가센서 프로젝트에 웹을 지원하도록 센서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HTTP를 통해 외부에 제공하는 기능 구성 가능HTTP로 동작하는 센서와 액추에이터를 서로 엮어주는 컨트롤러도 HTTP 서버로 동작하도록 구성 가능 UPnP (Universal Plug and Play)가전 제품이나 사무용 전자 기기에서 주로 활용여러 프로토콜을 활용해 애드혹 IP 네트워크에 있는 장치를 검색하고, 이러한 장치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알아내고, 원하는 동작을 실행하거나, 이벤트를 발생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토콜이자 아키텍처IoT 장치와 서비스를 자동으로 찾고 이벤트 알림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토콜여.. 2023. 8. 10. 04 IoT 아키텍처 구성 (3/3) 데이터 저장 1. 데이터베이스 역할 데이터의 저장과 활용을 쉽게 하는 것 조건에 일치하는 데이터를 찾는 것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면 여러 데이터를 연결해 하나의 데이터로 뽑는 작업이 쉬움. RDB는 SQL이라는 데이터베이스 전용 언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다룸. NoSQL은 SQL 이외의 다양한 방법으로 데이터베이스 조작 2. 데이터베이스의 종류와 특징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이라는 데이터 구조를 가짐. SQL 언어를 사용하여 데이터 추출, 입력, 삭제 수행 이미지나 음성과 같은 바이너리 형식의 데이터에 특화 X BLOB(Binary Large Object) 타입으로 저장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용도에 따라서 이미지 파일은 파일 시스템에 저장하고, 경로만 RDB.. 2023. 7. 29. 03 IoT 아키텍처 구성 (2/3) 데이터 수신 1. 수신 서버 역할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이 목적 디바이스와 시스템 간의 중간자 역할 디바이스에서 서버로 데이터 전송 방법 HTTP를 이용한 웹 API를 제공하여 디바이스에서 액세스 웹소켓이나 WebRTC와 같이 음성이나 영상 등의 실시간 통신 수행 데이터를 전송할 때마다 커넥션 필요 클라이언트에서 요청이 없으면 통신 불가 2. HTTP 수신 서버는 일반적인 웹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구성 가능 디바이스는 서버로 HTTP GET 메소드나 POST 메소드로 액세스하고, request 파라미터 또는 BODY를 통해 데이터 송신 3. 웹소켓 인터넷상에서 소켓 통신을 실현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의 데이터를 쌍방향, 연속적으로 송수신 가능 클라이언트로부터.. 2023. 7. 28. 02 IoT 아키텍처 구성 (1/3) IoT 아키텍처 IoT 서비스는 크게 두 가지 역할 담당 : 디바이스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 해당 데이터를 분석하는 역할 / 디바이스에 명령 및 정보를 전송하는 역할 1. 전체 구성 구성 요소 : 디바이스, 게이트웨이, 서버 2. 게이트웨이 인터넷에 직접 접속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장치 또는 소프트웨어 인터넷에 직접 접속할 수 없는 디바이스와 인터넷 간의 중계 역할 담당 복수의 디바이스 접속 가능 주로 리눅스를 운영 체제로 사용 게이트웨이를 선택할 때 인터페이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전원을 고려 인터페이스 게이트웨이와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것 인터페이스에 따라 접속할 수 있는 디바이스가 결정 유선 접속 타입 : 시리얼 통신, USB 접속 시리얼 통신 - D-.. 2023. 7. 28. 이전 1 2 3 4 5 6 ··· 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