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heory/DSP

01 Analog Signal Analysis (22.09.26)

by Orangetasteboy 2023. 4. 29.

푸리에 급수와 푸리에 변환은 아날로그 신호 분석을 위한 도구이다.

기본적으로 시간 영역과 주파수 영역 간의 신호 변환에 사용된다.

푸리에 급수

  • 연속 시간 주기 신호 분석용
  • 기본 주파수를 갖는 고조파 관련 정현파를 사용하여 주기적 신호 표현
  • 주파수 영역에서 이산 값만을 취함.

연속 시간 함수인 x(t)는 아래와 같이 Tp>0 에서 존재할 때 경우 주기적 함수라고 한다.

 

가장 작은 Tp를 기본 주파수라고 한다. 기본 주파수는 아래와 같은 관계를 가진다.

모든 주기 함수는 아래와 같이 푸리에 급수로 확장할 수 있다.

 

그리고 푸리에 급수의 계수는 아래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푸리에 급수의 계수는 x(t)의 주파수 표현에 해당하는데, 일반적으로 우리는 크기와 위상을 사용하여 표현한다.

푸리에 변환

  • 연속 시간 비주기 신호 분석용
  • Ω의 연속적인 범위에서 정의됨.

비주기 및 연속 시간 신호 x(t)의 푸리에 변환은 아래와 같으며 스펙트럼이라고도 한다.

푸리에 역변환은 아래와 같다.

델타 함수는 아래와 같은 특성을 가진다. f(t)는 연속 시간 신호이다.

위의 첫번째, 두번째 식들은 델타 함수가 t = 0에서 가장 큰 값 또는 임펄스를 가진다는 것을 나타낸다.

위의 마지막 식은 Shifting Property이다.

 

델타 함수는 아래와 같이 표현한다.

단위 계단 함수 u(t)는 아래와 같이 표현한다.

t = 0에서 값이 0에서 1로 갑자기 변화한다.

Linear Time-Invariant (LTI) System

 

Linearity

(x1(t), (y1(t)) 와 (x2(t), (y2(t))의 입력(x)-출력(y)이 있을 때, ax1(t) + bx2(t) → ay1(t) + by2(t) 이다.

 

Time-Invariance

x1(t) → y1(t) 일 때, x(t - t0) →  y(t - t0) 이다.

 

Convolution

시간 영역의 컨볼루션은 푸리에 변환 영역의 곱셈에 대응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