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VoIP의 태동
● 과금 방식 차이
- 전화망 : 사용 시간, 거리에 따른 종량제
- 인터넷망 : 정액제
● 표준화
- 1996년 11월 인터넷망을 통한 시그널링 표준 제정
- 1998년 2월 패킷 네트워크에서 음성과 영상 송수신 표준
● 초창기
- VoATM, VoFR, VoIP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음성 송수신
● 현재
- IP 네트워크로 통합
■ Voice Gateway
● 이기종 망을 연동하는 장비
● 이더넷 인터페이스와 PSTN 인터페이스를 가짐.
● DSP(Digital Signal Processor) 기능
- 음성 신호 ↔ 데이터(패킷) 신호
- 음성 합성, 음성 인식, 음성 부호화, 압축, 반향음 제거 등 기능을 고속으로 수행
- 현재는 영상처리도 가능하도록 진화
● PVDM(Packet Voice DSP Modules) 기능
- DSP 칩을 집적한 모듈
- IP Phone, 다자간 음성 회의 시스템(MCU, Multipoint Control Unit)
■ Voice Gateway 종류
● Trunk Gateway(트렁크 게이트웨이)
- PBX와 연결하기 위한 E1 트렁크를 집적하는 음성 게이트웨이
- E1 포트가 많을수록 더 많은 DSP 칩 필요
● Analog Gateway(아날로그 게이트웨이)
- PBX가 없는 경우, 아날로그 전화기 및 팩스 지원
- 별도의 시그널링 방법 사용 : FXS, FXO, E&M
- FXS(Foreign Exchange Station)
- 전화망 모사 인터페이스
- 기존의 전화기 또는 팩스 연결
- PBX 역할 수행
- 전화기에 전원을 공급하여 다이얼톤 생성
- FXO(Foreign Exchange Office)
- 전화기 모사 인터페이스
- E&M(Ear & Mouth)
- 아날로그 트렁크 방식으로 구형 PBX와 PBX간의 연결에 사용
- 요즘은 거의 사용 X
● 기능적인 차이로 동시 구현 가능
■ Voice Gateway를 이용한 VoIP 적용 초기망 구성

■ 저렴한 국제 전화 서비스 출현
● PSTN 전화망 국제 전화 식별 번호
- KT 001 / LG U+ 002 / 온세 008
- 깨끗한 음질 보장
● VG 설치 후 VoIP 사용
- PSTN에 비해 상대적으로 음질이 낮음.
- 별정통신 사업자의 국제 통화 사업 참여
- SK Telink 00700
● 현재
- 음질 동일 : G.711 코덱
- HD Voice : G.722 코덱
'Protocol > Vo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06 SIP 개요 (23.03.24) (0) | 2023.04.12 |
---|---|
05 VoIP 프로토콜 (23.03.24) (0) | 2023.04.12 |
04 IP Telephony / VoIP 시그널링 (23.03.24) (0) | 2023.04.12 |
02 전화망의 이해 (23.03.17) (0) | 2023.04.12 |
01 네트워크 기초 (23.03.10) (0) | 2023.04.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