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 VoIP 프로토콜 (23.03.24)
■ VoIP 프로토콜
● H.323
- 문제점
- 대규모의 사용자 지원 어려움.
- 대형 VoIP 네트워크 구성의 한계점
- 기존의 아날로그 PBX가 지원하던 전화 부가 기능 지원 미흡
- 복잡한 프로토콜 구조
- PSTN 네트워크의 아키텍쳐와 유사 (시그널링 과정과 메시지)
- 1998년 ITU H.323 Version 2
- 복잡한 시그널링 과정 단순화
- 시그널링 과정
● H.323의 복잡성
- Protocol Suites
- 개발이 어려움
- H.225 Cell Control : 호 제어 & 시그널링
- H.225 RAS(Registration Admission, Status) : 단말 등록 & 호 정책 설정
- H.245 : 부가 서비스 & 코덱 협상
- H.235 : 보안 통신
- ASN 코드 사용
- 설계 & 디버깅이 어려움.
● SIP
- 클라이언트-서버 기반 프로토콜
- 확장성, 유연성, 단순한 시그널링
- 부가서비스 개발에 강점
- 확장성 & 유연성은 장점이자 단점
- 이기종 장비간 상호 연동이 어려움.
- H.323은 엄격히 규격화된 표준으로 인해 이기종 장비 간 상호 연동이 비교적 쉬움.
- IP PBX와 IP Phone 동일 제조사로 묶이는 현상 발생
- 부가서비스 지원 목적
- 주로 기업용으로 사용
● MGCP
- IETF에서 제정
- 프로토콜 구조는 SIP와 유사
- 음성 중심
- 이후 ITU, IETC 함께 표준화
● Master-Slave 구조
- Master : MGC(Media Gateway Contoller) 또는 CA(Call Agent)
- Slave : 게이트 & 단말
- MGC 또는 CA
- 호 제어 & 호 라우팅 기능 수행
- VG는 DSP와 PSTN과 IP망 연동 인터페이스 기능만 가짐.
- VG, 단말은 단독으로 호 라우팅 수행 불가
- MGCP는 Master-Slave 구조
- 중앙 집중식
● Peer to Peer 구조
- 게이트웨이, 단말이 호 제어 및 호 라우팅 등 지능적인 기능 수행
- IP Proxy Server, H.323 Gatekeeper는 옵션 장비 (관리 목적)
- SIP, H.323은 Peer to Peer 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