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 전화망의 이해 (23.03.17)
■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 대형 회로 스위치형 네트워크
● 가정과 기업의 전화기를 연결하는 전화 네트워크
● 구성 요소
- 전화기
- RJ-11
- IDF 단자함
- MDF
- PBX
- E1 트렁크
- Tandem Switch
● 과거
- 전화선이 연결된 물리적 위치인 층이나 집의 주소로 일대일 대응되는 선번장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
- MDF 단자함과 전화 교환기를 연결하는 수작업으로 관리
■ 전화 교환 시스템
● 일반 가정
- 전화국 지역교환기로 연결
● 작은 빌딩
- Key Phone System
● 큰 빌딩
- PBX(Private Branch Exchange)
● 지역 교환기
- 전화국에서 가입자를 수용하는 전화 교환 시스템
- 가입자 선 교환기 또는 CO(Central Office)라고도 함.
■ 전화기와 전화 교환기 연결

■ PBX 구성
● 내선 카드
- 가입자 회선을 수용하는 역할
- 전화기 또는 팩스의 전화선이 직접 연결되는 카드
- 전화번호가 입력되어 있음.
- 내선 카드의 수에 따라 PBX의 크기 결정
● 스위칭
- 전화기와 전화기 연결
● 제어부
- PBX 관리 제어
● 트렁크 카드(또는 국선 카드)
- PBX와 PBX 연결
- PBX와 전화국 연결
- 9번
■ Dialing
전화를 거는것
Pulse Dialing

● 지연
● 잡음에 대한 민감도 높음
Tone Dialing

● DTMF(Dual Tone Multi-Frequency) 사용
- 주파수 2개를 함께 전송
● 잡음에 대한 민감도 낮음.
● Pulse Dialing보다 좋은 방식
■ Trunk
● E1 트렁크
- 국내 표준
- 트렁크 연동 : PBX와 PBX간, PBX와 전화국 간 연결

- Time slot 0
- Framing 정보
- 프레임의 시작 및 동기 신호를 교환
- Time slot 16
- Signaling 정보
- 전화번호 및 상태 정보를 교환하는 시그널링 정보를 교환
- Time slot 1-115, 17-31 (0, 16을 제외한 나머지 번호)
- Media(음성) 교환
- 아날로그 음성을 디지털화한 음성을 교환
- 한 채널 대역폭
- 64kbps PCM 변조
● E1 vs T1

■ 한 채널이 64kbps인 이유
● 64kbps = 1초 음성 전달 대역폭
●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
- 목적 : 사람의 음성을 비용 효율적으로 장거리/고품질 전송

● 표본화
- 원 신호를 시간축 상에서 일정한 주기로 표본 값을 추출하는 것
- 표본화 주파수 = 6Khz
- 6.8Khz + 표본화 잡음 앨리어싱 해결 목적
- 섀논의 표본화 정리 : 표본화 주파수 = 사람 음성의 최대 주파수 3.4Khz*2
- 나이키스트 간격으로 샘플링
- 1s / 표본화 주파수 = 125us
● 양자화
- 진폭 값을 근사화하는 것
- 진폭이 크면 높은 값, 진폭이 낮으면 낮은 값 부여
● 부호화
- 양자화된 신호를 0과 1로 표현하는 것
- PCM(Pulse Code Modulation)
- 펄스 부호 변조
- 양자화된 신호를 8비트로 표현
■ E.164 주소 체계
● ITU-T E.164
- E.164 : 국제 통신에 사용하는 번호의 최대 자릿수를 12자리로 규정
- E.164 권고안에서 최대 16자리로 확장

- CC(Country Code)
- 국가 코드
- 2자리
- AN(Area Number)
- 지역 번호
- 2 또는 3자리
- LN(Local Number)
- 국 번호
- 3 또는 4자리
- SN(Subscriber Number)
- 가입자 번호
- 4자리
● 전화를 걸 때마다 모든 전화번호를 누르지 않아도 되는 이유
- 전화번호 시스템은 계층적
- PBX 내에서 스위칭 시켜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