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tocol/VoIP

01 네트워크 기초 (23.03.10)

Orangetasteboy 2023. 4. 12. 09:58

■  Network

통신 분야에서 단말기 등을 접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단말기기, 선로 및 교환기 등으로 구성되는 전송 매체

 

 CBN vs PBN

CBN

●  전화망(PSTN)

●  Connection-oriented Service

●  자원 점유 방식

  • QoS(Quality of Service, 품질) 보장
  • QoS Factor - delay, loss, jitter

●  SS7(Signalling System #7)

  • 시그널링을 위한 신호처리 망

PBN

●  Internet

●  Connection-less Service

●  자원 공유 방식

  • QoS 보장 X
  • Best-effort Service

●  라우터 사용

  • 라우팅 동작 - 망의 상황에 따라 다른 경로로 패킷 전달

 

  Protocol

●  통신을 위한 규약(약속)

●  3대 요소

  • Format
  • Meaning
  • Timing

 

  OSI 7 LAYER

●  7개의 계층으로 이루어진 통신을 위한 Protocol Stack

●  peer to peer protocol stack

 

OSI 7 Layer

Layer 7 : Application Layer (응용 계층)

●  목적 : 사용자의 편의성 제공

●  일반적으로 GUI로 구성

●  프로토콜 예 : HTTP, FTP

Layer 6 : Presentation Layer (표현 계층)

●  목적 : 어떻게 Display 할 것인가?

●  Codec(Coding + Decoding) 관련

●  압축, 암호화  

Layer 5 : Session Layer (세션 계층)

●  목적 : 사용자의 구분, 누구와 통신할 것인가?

●  Session ID : 누구와 통신할 것인지를 구분할 수 있도록 알려주는 구분자

  • Email, 전화번호, 지문, 홍채 등

●  Session은 패킷의 Flow라는 개념으로도 사용

  • 5 tuple : IP Source, IP Destination, Port Source, Port Destination, Protocol
  • 5 tuple이 같은 패킷은 송신자와 수신자가 동일한 Flow 

Layer 4 : Transport Layer (전송 계층)

●  목적 : Port에 따라서 어떻게 전송할 것인가?, 어떤 Port로 전송할 것인가?

●  Port number : 어떤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전송할 것인가를 구분

  • well-known port : 표준화 되어있는 포트, 0~1023
  • registered port : 상업적인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회사들이 등록하여 사용하는 포트, 1024~49151
  • dynamic port : 사용자(개발자)가 자유롭게 즉흥적으로 할당하여 사용할 수 있는 포트, 49152~65535

●  UDP

  • TCP에 비해 프로토콜이 간결
  • 가볍고 빠름.
  • QoS 보장 X
  • real-time service(실시간 비디오)에 적합

●  TCP

  • UDP에 비해 프로토콜이 복잡
  • 무겁고 느림.
  • UDP에 비해 QoS 일부분 보장(Virtual Connection)
  • non-real-time service(Email, 에 적합
  • retransmission(재전송), timeout(몇 초 이내 도착하지 않으면 재전송) 두 가지 특성으로 흐름 제어, 오류 제어

Layer 3 : Network Layer (네트워크 계층)

●  목적 : end to end(source to destination) 데이터 전송

●  프로토콜 예 : IP(Internet Protocol)

●  IP Address 사용

  • 32 bits
  • 논리적 주소

●  DNS(Domain Name System) 사용

  • Session ID로 상대편의 IP 주소를 알아오는 매커니즘
  • 계층적 구조

●  장비 : L3 Router

  • Routing(Forwarding) : 전송 경로 파악
  • Forwarding Table

Layer 2 : Data-link Layer (데이터 링크 계층)

●  목적 : hop-by-hop(per-hop behavior) 데이터 전송

●  2개의 부계층 존재 : LLC, MAC

●  LLC(Logical Link Control)

  • 논리적 채널 관리
  • TDMA, CDMA

●  MAC(Medium Access Control)

  • LLC보다 상대적으로 하위
  • MAC Address 사용 : 고유한 하드웨어 주소
  • ARP : IP 주소로 MAC Address를 알아내는 프로토콜 (Broadcasting 사용)

●  장비

  • L2 Switch(MAC Address 존재 X), 브릿지
  • MAC learning 기능과 ARP table 가짐.

Layer 1 : Physical Layer (물리 계층)

●  목적 : 데이터를 비트 형태로 표현 (네트워크로의 하드웨어 전송)

●  Modulation : AM, FM, PSK, FSK

●  장비

  • 허브 : 물리적으로 성형 구조, 논리적으로 버스 구조
  • 리피터 : 신호증폭장치 (감쇄, 잡음)

●  Topology(망의 구성) : Star, Mesh, B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