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bedded/Raspberry Pi
03 한글 환경 구성 / Windows 개발 환경 구성
Orangetasteboy
2023. 7. 5. 13:11
한글 환경 구성
한글 폰트 설치
- 화면 상단의 Terminal 아이콘을 클릭하여 실행
- $ sudo apt install fonts-unfonts-core 명령어 입력
- 설치가 끝나면 화면 상단의 Web Browser 아이콘을 클릭하여 실행
- 한글이 출력되는 사이트에 접속하여 한글이 정상적으로 출력되는지 확인
한글 키보드 입력기 설치
- Terminal 실행
- $ sudo apt install ibus ibus-hangul 명령어 입력
- 설치 진행 여부를 물으면 y키를 누르고 Enter 키 입력
- 설치가 끝나면 화면 상단의 딸기 > Preferences > IBus Preferences를 클릭
- IBus 데몬을 구동시키는 창이 열리면 Yes > OK 클릭
- Input Method 탭을 선택
- Add 버튼 > 창 아래의 "..." 부분 클릭
- 검색창에 korean 입력 > Korean 항목 클릭
- Hangul을 클릭하여 선택한 후, Add 버튼 클릭 > 추가된 것을 확인하고 Close 버튼 클릭
- 화면 상단의 딸기 > Logout > Reboot 클릭
- 재부팅되면 화면 최상단 좌측에 키보드 표시 아이콘을 클릭하여 Korean-Hangul 선택
- Web Browser를 실행시켜서 검색창에 한글 입력 확인
Windows 개발 환경 구성
윈도우에서 라즈베리 파이에 wifi를 통해 원격 접속하여 개발할 수 있는 환경 구성
소스 편집이나 인터넷을 통한 해결책 찾기 등은 Windows에서, 소스 테스트는 원격 접속으로 Linux에서 수행하기 위함.
원격 접속 환경 구성의 전체적인 순서
- 원격 접속 서버인 SSH 서버를 라즈베리 파이에 활성화
- 윈도우에 SSH 원격 접속 프로그램인 PuTTy 설치
- PuTTy 프로그램으로 라즈베리 파이에 원격 접속
SSH 서버 활성화
- 화면 상단의 딸기 > Preferences > Raspberry Pi Configuration 선택
- Raspberry Pi Configuration 창에서 Interfaces 탭 > SSH를 활성화 > OK 클릭
- 무선 네트워크 아이콘에 마우스를 올려 할당된 IP 주소 확인
- 무선 네트워크 아이콘을 클릭하여 AP 이름 확인
- Terminal 실행
- $ ifconfig wlan0 명령어를 입력하여 IP 주소 확인
- $ iwconfig wlan0 명령어를 입력하여 AP 확인
PuTTy 프로그램 설치
- PC에서 https://www.putty.org/ 접속
- Download PuTTy 클릭
- MSI ('Windows Installer')에서 본인 PC에 해당하는 installer 설치
- installer를 실행하여 PuTTy 설치
라즈베리 파이 원격 접속 (PC와 라즈베리 파이가 같은 공유기를 사용하는 경우)
- 라즈베리 파이의 Terminal에 아래의 명령어를 차례로 입력
- $ sudo apt-get update
- $ sudo apt-get upgrade
- $ sudo raspi-config
- 위의 명령어를 통해 내부 환경 설정으로 들어감.
- 키보드 방향키로 조작하여 Interface Option > SSH > 활성화 > Finish
- 리눅스에서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방화벽 프로그램인 ufw 설치
- $ sudo apt-get install ufw
- 22번 포트로 ssh를 사용하기 위해 포트 할당 후, ufw 활성화, 부팅될 때마다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설정
- $ sudo afw allow 22
- $ sudo ufw enable
- $ sudo systemctl start ssh
- Terminal에 $ sudo reboot 명령어 입력하여 재부팅
- PC에서 PuTTy 실행
- PuTTy 설정 창에서 아래 순서로 라즈베리 파이에 접속
- Connection type : SSH 선택
- Host Name (or IP address) : 라즈베리 파이에서 확인한 IP address 입력
- Saved Sesseions : Default Settings 선택 > Save 클릭
- Open을 클릭하여 접속
- pi 사용자 계정과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로그인
- 화면에 뜨는 명령창으로 라즈베리 파이에 명령 가능
- password는 입력되는 것이 보이지 않지만 입력되고 있는 중인 것을 인지